[강사] 발목 종합. 열린사슬 닫힌사슬 나선형관점으로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5-11-12 21:48 조회1,344회 댓글0건본문
발목의 움직임
-열린사슬 닫힌사슬 나선형 관점에서-
발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준면(축)이 있어야 하며, 보통은 아래 그림과 같이 서로 직각(90˚)인 3개의 기준면을 사용합니다.
움직임의 기준면 :
전두면(前頭面, frontal plane)
- 외번(外飜, eversion), 내번(內飜,inversion)
시상면(矢狀面, sagittal plane)
- 배측굴곡(背側屈曲, dorsiflextion), 저측굴곡(底側屈曲, plantarflexrion)
수평면(水平面, transverse plane)
- 외전(外轉, abduction), 내전(內轉, adduction)
발목의 움직임을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
회외(Supination) = 내번(Inversion) + 내전(Adduction) + 저측굴곡(Plantar flexion).
회내(Pronation) = 외번(Eversion) + 외전(Abduction) + 배측굴곡(Dorsiflexion).
그런데, 실제로 발목관절은 3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움직이지 않고, 사선축(Henke 축)을 기준으로 복합되어 움직입니다. 일반적으로 회내(回內, pronation) / 회외(回外, supination)를 3면 움직임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오른쪽 발목의 사선축(Henke 축)
- 회내 = 외번 + 외전 + 배측굴곡
- 회외 = 내번 + 내전 + 저측굴곡
그러나 이것은 열린운동사슬동작(Open Kinetic Chain Motion; OKCM)에서 발생하는 운동양상을 표현하는 것이며, 닫힌사슬운동동작(Closed kinetic Chain Motion : CKCM)에서는 위와 같이 움직이지 않습니다.
OKCM과 CKCM에서 발목 움직임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발목주위의 구조물들을 알아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.
↓↓오른쪽 발목을 옆에서 바라본(lateral view) 모습↓↓
↓↓오른쪽 발목을 앞에서 뒤방향으로 바라본(anterior view) 모습↓↓
↓↓OKCM에서 발목운동↓↓
오른쪽 다리를 앞에서 뒤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
1. 회내
- 종골(踵骨, calcaneus)에서 배측굴곡, 외전, 외번이 모두 발생.
2. 회외
- 종골에서 저측굴곡, 내전, 내번이 모두 발생.
↓↓CKCM에서 발목운동↓↓
오른쪽 다리를 앞에서 뒤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
1. 회내
- 경골(脛骨, tibia) : 내회전(internal rotation) 발생
- 거골(距骨, talus, anklebone) : 저측굴곡과 내전
- 종골(踵骨, calcaneus) : 외번(eversion)
2. 회외
- 회내의 반대
외반족(外反足, pes valgus) 변형의 경우 회전방향
따라서, 위 그림과 같이 회내(pronation) 즉 Valgus가 될 경우 안쪽 복숭아주위에 부정적인 힘(adverse forces)이 발생하며, 이것은 kinetic chain을 따라서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또한 위 그림을 나선형(螺旋形, helical form)관점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(오른쪽 다리 기준. 왼쪽 다리의 경우 아래의 반대)
- (닫힌 운동의 경우) 아랫다리의 내회전 비틀림은 오른손방향(right handed)이며,
- 발목에서 거골과 종골은 왼손방향(left handed)이며,
- 또한 엄지발가락도 왼손방향의 회전(내회전)이 발생합니다.(관련글 : 무지외반증)
따라서 CKCM에서 회내의 경우 경골은 오른손방향(RH), 거골, 종골 엄지발가락은 왼손방향(LH)으로 비틀리는 힘을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